>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광주·전남, 구제역 차단으로 청정지역 유지돼야 한다.
기사입력  2017/02/13 [13:28] 최종편집    KJA 뉴스통신
▲     ©KJA 뉴스통신

[KJA뉴스통신=이기원 기자]

김병원 농협중앙회장이 지난 12일 전북 정읍지역 구제역 방역현장을 방문해 현장 방역활동을 점검하고 일선 방역 담당자들을 격려했다.정읍지역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으로 한우 339두가 살처분 되었고 구제역 확산방지와 농가 피해 최소화와 구제역방역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정읍지역의 구제역 발생과 관련해 우리지역 축산 농가의 구제역 확산 공포감 또한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2010년 구제역 파동 이후 소·돼지 등의 백신 접종을 의무화했다. 백신 예산만도 지난 5년간 수천억원이 투입됐다.
2010년 구제역 파동 이후 지속적으로 년 2회의 방역백신 주사를 의무화 한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항체검사를 의뢰한 소의 5%만이 구제역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어있어 그동안 투입한 재정과 약물에 비해 실제 효과는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축산농가의 경우 사육두수에 따라 관리 기준이 나뉜다.
50두를 기준으로 50두 미만인 경우 공수의 등 정부에 의해 관리 감독이 이루어지는 반면 50두 이상은 농장주가 직접 관리한다.
백신 주사여부 또한 축협에서 농가의 수령량으로 확인 할 수밖에 없는 행정구조도 문제지만 농가도 백신을 맞으면 기형이나 사산 확률이 높아지고 생산량이 준다는 등의 이유로 안일하게 대처해 오지 않았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 매뉴얼에 따라 농가가 백신의 접종을 해 왔다면 5%의 항체 생성률은 납득이 안가는 대목이기도 하다.
하지만 농가의 입장에서도 자신들이 지켜야 할 재산이므로 유산이나 사산, 생산량 감소 등의 이유를 들어 백신의 주사를 회피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모든 걸 잃을 수 있는데 소탐대실적 농가 운영을 했을 리 만무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번 구제역 발병은 사전에 철저한 대응을 하기보다 사후 응급 처치에 그친 미봉책이 부른 인재로 평가된다.
2010년 무려 350만 마리의 소·돼지를 살처분한 재앙이 되풀이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아직까지 이 지역에서는 구제역이 발병하지 않고 있다.
전국에서 6번째 구제역이 발생한 지금 백신의 빠른 확보와 돼지의 A형 백신의이 문제 해결 등도 최대한 챙겨야 할 관심 사항이다.
이 지역 구제역 발병을 차단함으로서 구제역 청정지역이란 명성이 이어지길 바란다.

 

 

광고
ⓒ KJA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