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문정왕후가 후원한‘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보물 예고
기사입력  2018/10/25 [10:47] 최종편집    이기원 기자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KJA뉴스통신] 문화재청은 16세기 문정왕후가 발원한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를 비롯해 조선 시대 불교 조각과 고려·조선 시대 불교경전 등 4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는 1565년 중종 계비 문정왕후가 아들인 명종의 만수무강과 후손 탄생을 기원하며 제작한 400점의 불화 중 하나로, 경기도 양주 회암사의 중창에 맞춰 조성된 것이다.

회암사의 대대적인 불화 조성을 추진한 문정왕후는 당시 막강한 권력을 소유했던 왕실 여성이자 많은 불사를 추진한 불교 후원자였다.

회암사는 문정왕후의 후원을 받은 승려 보우의 활동기에 전국 최대 규모의 왕실 사찰로 번창하다 이후 쇠퇴하여 19세기 초 폐사지가 되었고, 지금은 ‘회암사지’라는 명칭으로 사적 제12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불화는 가운데 본존인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에 월광보살, 오른쪽에 일광보살을 배치한 간략한 구도로, 금니로 그려 매우 화려하고 격조 있는 품위를 보여준다.

주존불과 보살 간에 엄격한 위계를 두어 고려불화의 전통을 따랐고 갸름한 신체와 작은 이목구비 등 조선 전기 왕실 발원 불화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애초에 제작된 총 400점의 불화는 대부분 흩어져 현재 미국과 일본 등지에 총 6점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국내에는 ‘약사여래삼존도’만이 유일하게 알려져 있다.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는 조선 시대 최대 규모 왕실 불사 회암사에서 제작한 역사적, 불교사적으로 상징성이 높은 작품으로, 조선 전기 왕실불교 부흥에 영향을 끼친 왕실 여성들의 활동과 궁중화원이 제작한 불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목포 달성사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1565년 향엄 등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조성한 작품으로, 지장삼존, 시왕, 판관과 사자 등 19구로 이루어진 대단위 불상군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조성된 불상조각 중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이 모두 남아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서 역사적·조각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이다.

특히, 지장보살상의 경우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에 올린 반가 자세를 취하고 있어 ‘강진 무위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지장보살상’, ‘봉화 청량사 목조지장보살상’과 더불어 조선 전기의 보기 드문 형식으로 희소성과 조형적 가치가 뛰어나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3과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는 불교의 경전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중 각각 권3과 권5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불교 의식 중 하나인 참회법회를 통해 부처의 영험을 받으면 죄를 씻고 복을 누리게 되며, 나아가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발원의 내용을 담고 있다.

권3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된 판본 중 하나로, 1352년에 간행됐다는 보물 제875호의 말미에 있는 기록을 통해 권3 역시 이 시기에 인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권5는 1316년 처음 판각된 후 조선 초기에 인출된 판본으로 추정된다.

절첩장 형식으로, 모두 선장본 형태로 장정된 기 지정본과 차별될 뿐 아니라 고려 시대 유행한 장정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본문 전체에 걸쳐 조선 초기에 사용된 구결이 표시되어 있어 당시 불교학·서지학·국어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등 4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계획이다.
광고
ⓒ KJA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